충돌검사관련 책을 번역하여
여기에 글을 올리려고합니다. 영어 원문이라 그냥 읽으면 이해가 잘 안되서 이해도 할겸 제 자신에게 설명도 해볼겸 글을 쓰겠습니다
- 컴퓨터 공학
- · 2015. 11. 26.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시작하였습니다.
티스토리에서도 좋은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 생활 유용 정보
- · 2015. 11. 26.
AABB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경계 용량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직사각형 6면을 가진 상자입니다.(각각의 면의 법선벡터는 x,y,z축에 각각 평행합니다.) 최고장점은 빠른 겹침검사를 한다는것, 이것은 간단하게 개인좌표계로 비교할수 있습니다. AABB를 나타내는 3개의 방식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최소점,최고점을 설정하여 검사하는것입니다. struct AABB {Point min;Point max;}; 이 표현은 min과 max사이에 있는 공간에 대해서 검사를 합니다. 또다른 표현은 최소점과 x,y,z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struct AABB{Point min;float d[3];}; 마지막 표현은 중앙에 점 C가 있고, x,y,z의 반지름을 적는것입니다. struct AABB{Point c;floa..
모든 기하 객체에게 효율적인 경계 용량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경계 용량의 장점은 이것이다.:-적은 연산의 교차검사-딱 들어맞는다.-적은계산-회전또는 변형에 용이-적은 메모리 사용 경계용량의 핵심아이디어는 세밀한 기하검사가 상대적으로 적은 연산의 겹침검사를 통해 진행된다는 것이다. (안겹칠경우 다음의 디테일한 검사를 안하는것) 적은 연산의 겹침검사를 사용하기위해서는, 경계용량은 최대한 간단한 기하형태를 가져야한다. 동시에, 가능한한 빠른-탈출 검사와 디테일한 검사간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교차검사는 같은 타입의 경계용량뿐만 아니라다른 타입의 경계에 대해서도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추가적으로, 검사는 점을 포함하는지, 용량의 반직선에 교차하는지, 그리고 평면과 폴리곤이 교차하는지 여부를 포함해야한다. 경계..
기하적으로 떨어진 두개의 객체를 서로가 서로에게 충돌여부를 검사하는것은 매우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고, 특히 객체가 수백,수천개의 폴리곤으로 구성할 경우 기하급수적으로 연산량이 늘어납니다.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 객체 경계 용량은 종종 기하적 교차 검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겹쳐지는지 검사를 합니다. 하나의 경계 용량은 복잡한 자연의 객체를 하나 혹은 여러개의 간단한 단일 용량으로 압축한 형태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복잡한 객체의 경계를 좀더 간단한 연산으로 대체할수 있도록 해줍니다. 경계 용량은 사용하면 겹침 거부 검사를 할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경계 용량은 오직 복잡한 경계 구조물이 한번의 검사만을 통해서 적절한 결과값을 반환해주기 떄문입니다.(4.1절 참조) 물론, 객체가 정말로 겹쳐졌다면, 추가적..
여기에 글을 올리려고합니다. 영어 원문이라 그냥 읽으면 이해가 잘 안되서 이해도 할겸 제 자신에게 설명도 해볼겸 글을 쓰겠습니다
어제밤, 술에 취한 상태에서 얼릭에게 이사회 멤버가 되어달라는 부탁을 한 자기자신이 후회스러웠다.이사회 멤버를 제안받은 얼릭은 리처드와 함께 만들어갈 미래를 고대하였다."우린 모두 현재 비배치 상태야" 캐머런은 검정색 사무용 의자에 앉아서 느긋하게 말했다.옆에 나란히 앉아 맥주를 마시는 제임스도 동의하는 듯 고개를 끄덕였다."넌 어때?" 캐머런이 물었다."그래, 나도 비배치" 빅헤드는 손으로 자기자신을 나지막히 가리키며 말했다.그러자 옥상에 있는 비배치 일원들이 싱급게 웃으며 나름대로의 환대를 해주었다. "어떻게 얼릭을 이사회에 껴줄 수 있어?"디네시는 탁자에 몸을 기울인채 못마땅한 표정으로 말했다."회사 내의 누군가를 이사회에 넣는건 아니라고" 길포일은 방금 마신 맥주병을 탁자에 차분히 내려놓으며 단조..
티스토리에서도 좋은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